4대강 합천보
낙동강 본류의 공사중인 합천보
현재 강의 절반이 진행중이고 나머지도 향후 진행되겠죠
위치로는 보의 뒤편 큰산이 청덕면이고
사진의 바라다보이는 모래땅이 창녕군 이방면 우곡이라는 마을이 있는 곳입니다.
예전엔 여기주변이 과수원 이었습입니다.
도로 반대편은 논이었구요.
다음사진은 합천보가 들어서서
침수로 인해서 흙을 보강한 논경지입니다.
경지정리를 하고있는곳입니다.
현재 진행중입니다.
4대강 공사전에는 누런 알곡이 영근 들녁일 것입니다.
아무런 문제없는 논과 밭이 지금은 보강을 해야만 쓸 수 있는 땅이 되었습니다.
이것도 아까운 세금이 센다는 생각에 답답하네요.
이런 곳이 얼마나 더 있을까요?
사진의 오른 쪽 상단 빨강색을 띠는 것이 합천보 윗부분입니다.
이곳또한 흙을 돋우고 있습니다.
낙동강 합천보 주변에서 나오는 모래로 보강하고 있는 논입니다.
아래사진은 우리 고향입니다.
합천군 덕곡면 들녁입니다.
오른쪽 상단의 큰산이 청덕면 합천보가 있는 곳이구요
들녁끝자락이 낙동강 본류입니다.
합천보 공사중인 곳이지요.
이곳의 지형의 특징은 낙동강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곳입니다.
매미, 셀마태풍으로 온들녁이 물바다 된 곳이고
당시 메스컴에서도 연일 방송이 되었던 곳입니다.
저역시 태풍과 폭우로 피해를 직접 경험한 사람이고
여기 사시는 어르신들도 다 경험하셨기 때문에
4대강은 두려움의 대상입니다.
여기는 퇴적토가 쌓여서 만들어진 땅이기 때문에 아주 비옥한 땅입니다.
서 있는 뒤편에는 더 넓은 들판이 있습니다.
(덕곡면 면사무소 소재지 주변입니다.)
과거에 큰 태풍이 온 후로
수년에 걸쳐 강주변을 보강해서 뚝이 아주아주 튼튼합니다.
그 후로 홍수 피해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4대강공사로 없던 보가 다시 생기니
수면이 상승하게되고
이미 저지대인 이곳이 위험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비가 조금 많이 오면 배수가 않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직 공사가 절반도 않된 상황에서 ...
6월 말 부터 7월중순까지 집중호우로 항상 수면이 불안정한 곳입니다.
제가 경험한 태풍과 집중호우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과거> 셀마태풍은 저희 마을이 태풍의 경로에 속했고
태풍의 눈안으로 들어 왔기때문에
진행 전후로 엄청난 비를 쏟아냈거든요.
집중호우시에는 강물이 삽시간에 불어났습니다.
또한 상류에서 비가와도 중하류의 수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빨리 불어났죠.
결국 뚝이 무너지고
온 들판이 강의 수위와 똑같이 되었고
마을도 물에 잠겼습니다.
★ 비어있던 그 넓은 낙동강이 불과 수일만에 물이 넘치고
불어난 물에 견디지 못해 뚝이 무너지는걸 상상해보세요.
그런데 강을 가로지르며 한가운데 무언가를 가로막고 있는 걸
생각하면 제정신은 아니죠.
물난리를 경험한 사람은 오금이 저린다는 거지요
우리나라만의 기후조건을 좀 생각하시라는 말씀입니다. ★
마을 사람들이 불안해하는 것을 조금이나마 이해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당시가 최악이었는데...
지금 진행되는 4대강 공사는 좋은 것만 보여주려고 하니까
문제입니다.
마을사람들은 정부나 건설업자 모두 전문가로 보지않습니다.
앞으로 얼마나 수위가 올라갈 지 예측이 되십니까?
더더욱 요즘은 아열대기후성으로 접어들어
기록적인 폭우를 때마다 갈아치우고있습니다.
공사진행하시는 분이나 정부책임자께서
폭우에 문제가 없을지 확답해줄 수 있을까요?
합천보는 본류에 공사중입니다.
우리고향은 불과 1km 상류의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곳입니다.
마을은 본류와 지류에 인접해있습니다.
과거의 악몽이 다시 일어 나지 않기를 바랄뿐이고
이곳에 4대강 보공사를 왜해야하는 건지 다시 묻고싶습니다.
무조건적인 반대가 아닌
이미 저지대가 수위상승으로 피해를 보고있고
(강 주변땅과 마을)
최악의 기상상태를 반영하지 않고 있는듯하여
신뢰가 가지않습니다.
천천히 정밀하게 검토해서
충분히 의견수렴이 되어 진행되기 바랍니다.
엄청난 예산(국민세금) 투입하고도
좋은 결과를 얻지못하면 않한만도 못합니다.
국민불신만 키우는 격입니다.
나랏님들 직접 내려와서 보십시요
농민들이 무얼 생각하고 있는지...
'기타 > ♡세상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각 이적의 하늘을 달리다 슈스케2 (0) | 2010.10.16 |
---|---|
발암물질 브롬산염과다검출 생수업체 명단공개토록 (0) | 2010.10.15 |
서울 구청장 당선자 명단 (0) | 2010.06.03 |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0) | 2010.03.15 |
아이티소식 (unicef 소식지) (0) | 2010.02.04 |